관리 메뉴

서울복지신문

[스크랩] 수은 중독 풀고 간병 고치는 청미래덩굴 본문

건강정보/한방

[스크랩] 수은 중독 풀고 간병 고치는 청미래덩굴

충청복지신문 2005. 8. 2. 13:33

청미래덩굴은 우리 나라 산야에 흔히 자라는 덩굴성 떨기나무다

가을철에 빨갛게 익는 열매가 아름다워

요즘 꽃꽂이 재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아이들이 이 열매를 따먹기도 하는데 맛은 별로 없다

잎은 넓은 달걀꼴로 윤이 반짝반짝 나고 줄기에는 가시와 덩굴손이

있다.

꽃은 붉은색을 띤 녹색으로 여름철에 조그맣게 핀다.

 

  

                               청미래덩굴 암꽃

 

 

청미래덩굴은 이름이 많다.

경상도에서는 명감나무라고 부르고 황해도에서는 매발톱가시,

강원도에서는 참열매덩굴, 전라도지방에서는 명감나무, 종가시덩굴,

요즘 꽃가게에서는 흔히 멍개나무,

또는 망개나무로 부른다.

 

옛날 중국의 어떤 사람이 부인 몰래 바람을 피우다가 매독에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아내는 남편이 미워서 산에 업어다 버리고 돌아왔다.

남편은 허기가 져서 산을 헤매다 청미래덩굴을 발견하고 그 뿌리를

부지런히 캐 먹었더니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매독이 다 나아 버렸다.

그는 건강한 몸이 되어 마을로 내려왔고 다시는 아내 몰래 못된 짓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그 뒤부터 사람을 산에서 되돌아오게 했다고 해서 이 나무

이름을 산귀래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상당히 굵고 크다.

옛날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흉년이 들었을 때 구황식품으로 흔히

먹었다.

녹말이 많이 들어 있어서 충분히 식량 대용으로 쓸 만하다.

신선이 남겨 놓은 음식이라 해서 선유랑(仙遺糧)이라고 부르고 넉넉한

요깃거리가 된다 하여‘우여량’이라는 이름도 있다.

뿌리를 캐서 잘게 썰어 2∼3일 동안 물에 담가 쓴맛을 뺀 다음 쌀이나

다른 곡식에 섞어서 밥을 지어먹는다.

청미래덩굴 뿌리를 오랫동안 먹으면 변비가 생겨 고생하는 수 있는데

쌀뜨물과 같이 끓이면 그런 일이 없다고 한다.

옛날에 나라가 망하여 산으로 도망친 선비들이 청미래덩굴 뿌리를 양식으로 삼는 일이 흔했다 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성병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

<본초강목>에 요즈음 여자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 매독 같은 성병이 많이 유행하고 있다.

약을 써서 고친 뒤에 자주 재발하곤 하므로 오래 고생을 하게 되는데

이럴 때 청미래덩굴 뿌리를 쓰면 효과가 좋다고 적혔다.

매독뿐 아니라 임질, 태독, 악창 등에 두루 효과가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의 약효에 대해서 <동의학사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은 슴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독을 푼다.

뼈마디가 아픈 데, 매독, 연주창, 헌데, 악창, 수은 중독 등에 쓴다. 

하루 10∼15그램을 달인 약, 약술,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청미래덩굴은 온갖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수은 중독을 푸는 데 특히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기나 신경통에 뿌리를 잘게 썰어 약한 불로 달여서 밥 먹기 전에

마시고 땀을 흠뻑 내면 거뜬하게 낫는다고 한다.

 

청미래덩굴은 땀을 잘 나게 하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백 가지 독을

푼다.

매독이나 종기, 악창, 만성피부염, 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

풍습성관절염, 신장염, 방광염, 소화가 잘되지 않고 설사가 날 때,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에 하루 10∼30그램을 달여 먹는다.

잘게 썰어 말린 것 15∼30그램을 물 1되쯤을 붓고 그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3번 밥 먹기 30분전에 마시고 뜨거운 방에 홑이불을

덮고 누워 땀을 흠뻑 낸다.

그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온갖 독이 몸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항암작용이 높아 갖가지 암에도 효력이 있다.

 

 


 
가져온 곳: [..]  글쓴이: 너와집나그네 바로 가기
 

 
가져온 곳: [media effect]  글쓴이: 킬리쿠퍼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