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서울복지신문

[스크랩] 자궁세포진검사 본문

건강정보/건강정보

[스크랩] 자궁세포진검사

충청복지신문 2006. 2. 8. 02:57
자궁세포진검사

[ 파파니콜로우씨 분류(WHO분류 권고할 사항) ]

http://www.carecamp.com/ency/e_cmtestinginfo.jsp?idx=215

 



-유형 1: 정 상: 정상이므로 안심하고 매년 정기검사
-유형 2: 변형세포(정상세포와 같이 조금 변형): 걱정할 것은 아니지만 의사에게 염증치료 받고 다시 검사
-유형 3: 약간의 변형세포,중등도의 변형세포 ,심한 변형세포,: 자궁세포진검사


자궁경부 암의 진단방법에는 자궁경부세포진(Pap smear),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 인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검색, 질 확대경진(膣擴大鏡診) 및 생검(生檢) 등이 있습니다. 자궁세포진검사법 대표적인 자궁경부 암검사이며, 대부분의 개인 산부인과에서도 실시 가능 할 정도로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정확성이 높으며 통증 또한 없지만, 거짓양성(위양성)과 거짓음성(위음성)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위음성(僞陰性)이란 환자는 이상이 있으나 자궁경부세포진 검사 상으로는 정상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자에게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는, 정상인의 경우는 적어도 1년에 1번, 고위험 여성(다수의 성교 대상자, 성교를 일찍 시작한 여성, 전(前) 부인이 자궁 경부암이 있었던 남자와 결혼한 여자, 성병 질환자, 사회적 하류층의 여성, 흡연여성 등)에서는 6개월에 1번 정도의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세포진 검사결과 이상세포가 나타나면 질확대경진 및 생검을 통해 좀 더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즉시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여러 가지 전문적이고 확진 할 수 있는 정밀검사 시행

-유형 4: 0기 암(0期 癌) : 즉시 입원
-유형 5: 진행성 암 :즉시 입원

위의 분류를 통해

유형1이면 우선 안심이겠지만 유형4인 경우와 유형5인 경우는 즉시 입원하여 치료 받아야 합니다. 유형2인 경우에는 염증에 대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전문의와 상의하여 염증을 치료한 후 재검사를 하며, 유형3인 경우에는 철저한 정밀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 조기발견 및 예방 ]
자궁내막암의 조기진단은 치료 뿐 아니라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자궁내막암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가 특히 중요합니다.

자궁내막 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는 비만, 배란장애로 인한 불임증, 당뇨병 및 고혈압, 과다 에스트로겐증, 기능성 자궁출혈, 무배란증, 50세 이후까지 월경을 계속하는 여성 그리고 자궁내막에 대한 지속적 에스트로겐 자극 등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궁경부암 전구체의 조기발견과 근치적 제거가 가장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로, 자궁내막 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경기후 호르몬제 복용, 고위험군 여성에 있어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의 조기발견과 근치적제거가 필요합니다.

[ 자궁경부확대촬영법 ]
35mm특수사진기로 자궁경부를 확대 촬영하여 자궁경부암의 이상유무를 판독하는 것입니다.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와 같이 시행하면 세포진 검사 단독 실시 때보다는 정확성이 더 높아져 오진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색 ]
자궁경부 암발생의 중요 인자인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여부 판별, 전(前)암 단계 병변의 환자의 경우에 있어 암으로의 진행 여부 판별을 위해 실시하는 분자생물학적 진단 법 입니다.

[ 질확대경검사 ]
자궁경부를 4~10배까지 확대하여 직접 병변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자궁경부세포진검사와 병행할 경우 자궁경부암 진단에 가장 이상적입니다.

[ 생검 ]
자궁경부의 조직을 일부분 떼어내어 조직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자궁경부암을 확진 합니다. 자궁경부의 이상 소견 시 또는 자궁경부세포진 검사상 암이 의심 될 경우 실시 합니다.


 
출처 : 블로그 > tae | 글쓴이 : taepak [원문보기]
 

'건강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옆구리 살 빼기  (0) 2006.04.07
[스크랩] 자궁염증  (0) 2006.02.08
[스크랩] 자궁암  (0) 2006.02.08
※식이요법 10계명  (0) 2006.01.19
[스크랩] 해독법  (0) 200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