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은 에이즈처럼 위생에 철저히 하는 게 예방법입니다. 민간요법으로는 인진쑥, 시호, 질경이, 버섯균사체를 묽게 차처럼 끓여 수개월 동안
수시로 장복하는 방법이 있는데, 비교적 효과 있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 만성간염 식이요법 간질환은 양방에서는 물론
한방에서도 난치병으로 친다. 간은 절반이상이 망가질 때까지 자각증세가 거의 없어 병원을 찾을 때에는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구나 간세포는 한번 파괴되면 여간해서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만성간염은 오랜 기간 진행되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성간염의 치료역시 급성간염과
같이 적절한 안정과 균형 있는 식사가 기본이며,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도 필수이다. 만성간염 환자는 정상인 같이 생활하면서 피곤하다고 느끼면
누워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식사 후 특히 점심을 먹고 약30분 정도 누워있는 것도 건강을 지키는 좋은 방법이다.
만성간염 환자의 대부분은 식욕이 거의 정상이고 소화도 양호한 만큼 편식하지 말고 균형 잡힌 식사로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와 생선, 우유 및 유제품, 두부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체질에 맞게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성간염이나 간경화 초기에는 현미밥, 신김치, 두부, 생선, 신선한 야채, 과일, 녹차 등이 좋다. 이와 함께 아침공복 때 생수
2컵이나 식사 후 식초를 소주잔으로 3분의 1컵 정도 마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반면 흰 설탕, 흰 밀가루, 흰 소금, 자극성 음식 및
향신료, 생선회, 생굴 등 육어류 생식, 개소주, 뱀탕, 튀긴 식품, 오래된 식용유, 말린 생선, 절인 생선, 냉동생선, 훈제품, 햄, 소시지,
태운 고기나 태운 생선, 인스턴트 식품, 청량음료류, 화학조미료, 커피 등은 피해야 할 음식들이다.
특히 만성간염에는
조선콩(노란콩)1백ml을 삶아서 믹서기에 갈아 우유 1백ml를 첨가하여 공복이나 식간에 1일1회 복용하면 뛰어난 효능을 발휘한다. 복용 후 변이
묽어지면 우유의 양을 조절하면 된다. 이 방법은 지방간 치료에도 탁월하다. 단 간경화나 간암일 경우는 한의사와 상의하여 복용하여야 한다. 한편
만성간염이면서 변비를 동반하고 있다면 천연 왕소금요법을 권할만하다. 아침에 일어나서 한잔의 물에 작은 스푼으로 소금을 섞어 마시면 변이
부드러워지고 변통도 좋아진다. | |